https://youtu.be/50N_NiDUKpw?si=C6-fSPttj6GEvxFd
type
함수 : 주어진 데이터의 자료형을 반환
# - ⭐️ 디버깅 시 Special Variables를 펼쳐서 볼 것
type_bool = type(True) # 참 또는 거짓
type_integer = type(10) # 정수
type_float = type(3.14) # 실수
type_complex = type(1 + 2j) # 복소수
type_string = type("Hello") # 문자열
pass # 아무것도 하지 않는 코드. 여기에 break point 찍기
<aside> 💡 각 자료형마다 메모리에 차지하는 크기가 있습니다. (해당 값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주판의 크기)
</aside>
| 자료형 | 설명 | ‘기본’ 바이트 수 (3.12 버전 기준) | | --- | --- | --- | | bool | 참 또는 거짓 | 28 | | int | 정수 | 28 (유동적) | | float | 실수 | 24 | | complex | 복소수 | 32 | | str | 문자열 | |
<aside> ❓ 파이썬에서 하나의 값을 담는 자료형들의 이름과 계산된 메모리 크기를 출력하는 코드를 보여줘.
</aside>
<aside> 🧠 파이썬에는 원시 자료형이 없어? 그렇다면 왜지?
</aside>